[GA4] 구글 애널리틱스 #3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자 화면
1. 계정 선택기 영역: GA 계정과 속성, 보기를 선택
2. 보고서 및 도움말 검색 영역: 각종 알림 정보와 도움말 문서를 비롯해 GA에 대한 정보를 검색
3. 메뉴 영역: 분석 방법(분석 메뉴)을 선택하고 각종 보고서 선택
4. 분석 영역: 분석가의 조작에 의해 그래프 등 각종 분석 내용이 출력되는 영역(데이터 분석 진행)
5. 결과 관리 영역: 현재 화면을 나타내고, 보고서를 저장하거나 공유
세그먼트: 데이터 쪼개서 보기
데이터를 분석할 때는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할 수도 있지만 지역, 나이, 언어, 등 특정 기준으로 분류해서 분석해야 할 때도 있다. 이런 경우 사용하는 것이 세그먼트(segment)이다. 세그먼트란 분석가가 트래픽을 분류하는 기준을 만한다. 세그먼트를 통해 분석가는 분석하고자 하는 트래픽만 구분해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캘런더: 분석 기간 설정하기
데이터 분석에는 분석 대상과 분석 기간이 필수이다. GA 보고서에서도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확인하려면 분석 기간을 설정해야 한다. 분석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캘린더이다.
UA 분석
보고서: UA 분석의 핵심
UA에는 분석가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고서들이 미리 만들어져 있다. UA에서 제공하는 보고서는 전자상거래 분석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 즉 사용자의 웹 사이트 유입 전, 유입 시점, 유입 후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보고서로 구성되어 있다.
1. 잠재고객(Audience) 보고서: 웹 사이트에 유입되는 사용자들의 특징을 분석하는 보고서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지역에서 주로 유입되는 지, 어느 기기를 주로 이용하는 지, 어떤 것에 흥미를 갖는 지 등에 대한 정보이다. 이 보고서들은 유입 시점이나 그 이후에도 유용하지만 해당 정보를 통해 향후 유입될 사용자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입 전으로 분류한다.
2. 획득(Acquisition) 보고서: 사용자가 웹 사이트로 유입되는 시점의 데이터들을 주로 분석하는 보고서이다. 어느 채널에서 주로 유입되었는 지, 구글 애즈 등 마케팅 도구와 연계해서 얼마만큼의 캠페인 효과가 있었는 지, 어떤 페이지로 유입되었는 지 등을 분석한다.
3. 행동(Behavior) 보고서: 웹 사이트에 유입된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했는 지 분석하는 보고서이다.
4. 전환(Conversion) 보고서: 사용자가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 지, 전자상거래 매출은 얼마나 일으켰는 지 등을 분석한다. 최종 목표를 얼마나 어떻게 달성했는 지 분석하는 보고서라 할 수 있다.
5. 실시간(Realtime) 보고서: 실시간으로 트래픽을 분석한다.
실시간 보고서
실시간(Realtime) 보고서는 실시간 마케팅 캠페인에 대한 반응, 태깅 후 데이터 오류 모니터링, 사이트 개편 후 동작 상태 등 즉각적인 트래픽의 상황 파악이 필요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실시간 보고서는 지역, 트래픽 소스, 콘텐츠, 이벤트, 전환 등으로 구분된 보고서로 확인할 수 있다. 유의할 것은 실시간 보고서의 데이터는 완전한 실시간 데이터가 아니라 5분 이상 전에 수집된 데이터라는 점이다. 즉,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라 생각할 수 있다.
실시간 > 개요 보고서
실시간 개요(Overview) 보고서는 실시간 현황을 개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예를 들어 만약 캠페인을 실행하고 실시간으로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접속했는 지 확인 가능하다.
잠재고객 보고서
잠재고객(Audience) 보고서는 웹 사이트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영문인 'Audience(청중)'로 알 수 있듯, 우리 웹 사이트에 관심을 가질 만한 고객이라는 의미이다. 사용자 수, 세션 수, 이탈률 등과 함께 인구통계 정보, 기기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잠재고객 보고서의 나이 등 인구통계, 관심 분야 등 인적 정보는 실제 정보가 아니라 구글 시그널 등에 의해 예측된 정보이다.
잠재고객 > 개요 보고서
인구통계 > 연령 보고서
인구통계(Demographics) 보고서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등 인구통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다음은 인구통계 보고서 중에 연령대 별로 구분해서 사용자 수 등을 출력하는 연령(Age) 보고서이다. 측정기준을 연령대 별로 구분해서 여러 가지 측정항목으로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에는 25-34세, 18-24세인 젊은 층의 유입이 절반 이상으로 파악된다. 결과를 바탕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구매를 유도하면서 각 연령대에 적합한 상품으로 잠재고객을 유도하는 캠페인을 실행한다면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 위치 보고서
지역(Geo) 보고서는 사용자의 지역 정보를 분석하는 보고서이다. UA의 지역 정보는 사용자의 IP를 통해 확인한다.
다음은 지역 보고서 내 위치(Location) 보고서이다.
보고서를 통해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에 유입되는 '사용자'의 대부분은 미국(40.41%)이며 인도(7.2%), 영국(5.0%) 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외의 국가에 마케팅 캠페인을 하려면 인도, 영국을 먼저 고려해 볼 수 있다. 상단의 지도 이미지를 클릭하면 지역(Region) 정보가 출력된다.
기술 > 웹 브라우저 및 운영체제 보고서
기술(Technology) 보고서는 사용자의 기기와 접속 환경을 분석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UA의 기기/브라우저 정보는 사용자의 쿠키를 기반으로 분석한다.
다음은 기술 보고서 내 브라우저 및 운영체제(Browser & OS) 보고서를 조회한 결과이다.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의 '사용자'는 대부분 크롬(Chrome) 기반의 브로우저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사파리(Safari)를 주로 사용한다.
이 보고서는 데스크탑과 모바일 기기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구분해서 보려면 [보조 측정기준]에 '기기 카테고리(Device category)'를 추가해야 한다. [보조 측정기준]을 클릭해서 '기기 카테고리'를 선택하거나 입력한다. 그러면 다음 그림과 같이 브라우저와 기기를 구분해서 보여준다.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에는 대부분의 사용자(57.17%)가 크롬 브라우저/데스크탑 기기로 유입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크롬 브라우저/모바일 기기로 유입하고 있다(13.95%). 구글 크롬 계열의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모바일 > 기기 보고서
UA의 모바일(Mobile) 보고서를 통해 웹 사이트 사용자들을 모바일 사용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다음은 기기(Device) 보고서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사용 기기를 조회한 결과이다.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의 '사용자'는 Apple iPhone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42.65%), Google Pixel 6 Pro(3.02%), Apple iPad(2.56%) 순으로 사용한다. 다수가 애플 제품군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not set)은 정의된 정보가 없다는 의미로, 정보 보안 등의 사유로 정보가 제공되지 않거나 GA에 정의되지 않은 경우에 표현된다.
벤치마킹 > 채널 보고서
벤치마킹(Benchmarking) 보고서는 경쟁사와 비교하기 위한 보고서이다.
다음은 벤치마킹 보고서 내 채널(Channels) 보고서이다. 우리 웹 사이트의 산업군과 가장 가까운 산업군을 포함해 다양한 산업군과 비교할 수 있으며, 국가나 세션의 규모도 비교할 수 있다. 경쟁사의 데이터는 GA가 예측한 데이터이다. 하단의 표에서는 경쟁사 대비 우위일 경우에는 녹색, 열위일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나타내며, 차이가 많이 나면 짙은색, 적게 나면 옅은 색으로 표현된다.
선 그래프를 확인해 보면,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의 '사용자'는 세션 기준으로 스포츠(Sports) 산업군에 대비하여 요일마다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프 하단의 표를 보면 방문자들은 주로 'Direct(직접)' 유입에 우위를 가지며(녹색), 나머지 항목에 대해서는 열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빨간색). '직접' 유입이 높다는 것은 트래픽 양만 볼 때는 좋은 의미일 수 있지만, 유입 채널 그룹 분류 관점으로 보았을 대는 유입 채널이 제대로 분류되지 않았다는 의미일 수도 있으므로 원인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획득 보고서
획득(Acquisition) 보고서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로 접근한 경로 및 방법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보고서이다. 획득 보고서는 많은 부분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과도 관계가 있다. 방문자가 어떤 캠페인으로 얼마만큼 유입되었는 지 아는 것이 캠페인 효과 측정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캠페인 효과 측정을 위해서는 URL에 UTM(Urchin Tracking Module)이라는 방문 추적 코드를 많이 사용한다.
전체 트래픽 > 채널 보고서
전체 트래픽(All traffic) 보고서는 GA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고서이다. 분석가는 전체 트래픽 보고서에서 방문자가 유입하는 채널과 추천(리퍼럴) 소스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전체 트래픽 보고서 내 채널(Channels) 보고서이다. 채널 보고서를 통해 웹 사이트 사용자의 유입 채널을 분석할 수 있다.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의 채널 보고서를 살펴보면, 유입 채널의 대부분은 'Direct(직접)'이며, 그 다음은 'Paid Search(광고)'인 것으로 확인된다. '직접' 유입이 상당히 높은데 원인이 무엇인 지 확인해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전체 트래픽 > 소스/매체 보고서
소스/매체(Source/Medium) 보고서는 방문자가 웹 사이트에 유입할 때 유입경로인 '소스'와 매체(미디엄)'를 분석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의 '소스/매체'를 확인해 보면, 사용자는 'direct(직접)'와 'none(정의되지 않음)' 매체를 통해 가장 많이 유입되었다. 그다음 유의미한 '소스/매체' 유입은 'google/cpc'로, 구글 소스와 광고 클릭 방식(cpc, Cost Per Click)으로 유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구글 광고를 클릭해서 유입한 사용자가 많다는 의미이다.
캠페인 > 모든 캠페인 보고서
캠페인(Campaigns) 보고서는 캠페인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보고서이다. 어떤 캠페인을 통해 얼마나 사용자를 획득했는 지, 어떤 키워드로 유입되었는 지, 거래와 수익은 얼마나 되는 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캠페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은 모든 캠페인(All Ccampaigns) 보고서를 조회한 화면이다.
'Test' 캠페인을 제외하고,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에서 가장 높은 '사용자'를 획득한 캠페인은 'MIX | txt ~ AW-Brand(US/Cali)' 캠페인인 것으로 확인된다. 해당 캠페인을 검토해보면 어떤 내용에 사용자들이 반응했는 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확인된 요소는 다음 캠페인에 반영할 수도 있다.
행동 보고서
행동(Behavior) 보고서는 웹 사이트 내에서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했는 지를 분석하기 위한 보고서이다. 보고서의 내용에는 페이지 뷰와 이벤트 분석이 포함되어 있다.
행동 > 행동 흐름 보고서
행동 흐름(Behavior Flow) 보고서는 사용자들의 행동 흐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특히 콘텐츠 그룹이 정의되어 있다면 이 보고서를 통해 웹 사이트 사용자들의 콘텐츠 이동 패턴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이동이나 이탈하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어떤 콘텐츠를 주로 소비하는 지도 분석할 수 있다.
1. 보기 유형 선택: 콘텐츠 그룹, 자동화된 페이지, 이벤트 등으로 행동 흐름을 보는 관점을 선택할 수 있다.
2. 내비게이션 바: 화면을 옆으로 이동하거나 그래프를 크게 보거나 작게 본다.
3. 측정 기준: 기준이 되는 측정 기준을 선택한다.
하늘색 영역은 연결(Connection)이라고 하는데, 연결 관계를 표현한다. 녹색 사각형은 노드(node)라고 하며 트래픽이 통과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노드 안의 숫자는 경유 세션 수(경유 트래픽)이다. 노드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 놓으면 경유 트래픽(through traffic)과 이탈수(drop-offs)가 나타난다. 아래로 떨어지는 빨간 선이 이탈 세션 수(이탈수)이다. 해당 '노드'에서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이탈했는 지를 나타낸다.
사이트 콘텐츠 > 콘텐츠 드릴다운 보고서
사이트 콘텐츠(Site Content)란 웹 사이트 내의 웹 페이지를 말한다.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를 통해 사용자들이 얼마나 많이 웹 페이지를 보았는 지, 즉 관심을 가졌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콘텐츠 드릴다운(Content Drilldown) 보고서는 웹사이트 구조 기준으로 얼마나 페이지를 보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콘텐츠 드릴다운 보고서는 주로 페이지 뷰와 관련된 측정항목들의 수치가 결과로 출력된다.
이벤트 > 인기 이벤트 보고서
인기 이벤트(Top Events) 보고서는 인기가 높은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인기 이벤트 보고서에는 주로 이벤트와 관련된 측정항목들의 수치가 결과로 출력된다.
전환 보고서
전환(Conversions) 보고서는 분석가가 설정해 놓은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 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보고서이다. '목표(Goal)', 전자상거래(Ecommerce)', '다채널 유입경로(Multi-Channel Funnels)' 보고서 등이 있다. 분석가는 이들 보고서를 통해 정해 놓은 전환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 지 분석할 수 있다.
목표 > 개요 보고서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 지 전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는 분석 기간에 19,808개의 목표를 달성했고, '목표 전환율(Goal Conversion Rate)'은 23.37%로 확인된다. 또 주말에는 목표 달성 횟수가 떨어지는 것도 확인된다. 즉, 주로 평일에 방문자들의 활동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목표 > 유입경로 시각화 보고서
유입경로 시각화(Funnel Visualization) 보고서는 얼마만큼의 세션이 분석가가 미리 설정한 목표 단계를 거쳐 최종 목표에 도달했는 지를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목표는 [관리 > 보기 > 목표(Admin > View > Goals)] 메뉴의 설정을 따른다.
전자상거래 > 쇼핑 행동 보고서
쇼핑 행동(Shopping Behavior) 보고서에서는 개별 구매 단계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구매 단계란 고객이 상품을 조회하고(Product Views), 장바구니에 넣고(Add to Cart), 결제 정보를 입력한 뒤(Checkout), 최종 결제를 하는 단계를 말한다(Purchase).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의 쇼핑 행동 보고서를 확인해 보면 84,749 세션 중에 구매 행위 없이 이탈한([쇼핑 활동 없음]) 세션은 81,449 세션, 결제한([결제한 세션 수]) 세션은 3,117 세션, 최종 거래 완료한 ([거래가 발생한 세션 수]) 세션은 1,515 세션이다. 쇼핑 행동 보고서 분석을 통해 분석가는 웹 사이트의 전자상거래 목표 달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같은 전환(Conversions) 보고서 내의 결제 행동(Checkout Behavior) 보고서는 쇼핑 행동 보고서와 유사하지만 결제 단계에 대한 현황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고서이다.
전자상거래 > 제품 실적 보고서
제품 실적(Product Performance) 보고서는 개별 상품에 대한 실적을 자세히 분석할 때 사용하는 보고서이다.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의 제품 실적 보고서에서 'Google Cloud Desktop Neon Sign' 상품을 확인해 보면 '상품 수익(Product Revenue)'은 $7,688.00, '순 구매수(Unique Purchase)'는 62건, '수량(Quantity)'은 62개이다. 그 외에 '평균 가격(Avg. Price)', 평균 수량(Avg. QTY)' 등도 확인할 수 있다.